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입하(立夏) - 24절기 뜻 풍습 속담

by 따뜻한 고양이 2022. 12. 3.
반응형
728x90

 

입하(立夏)

 

 

 

1) 개요

 

24절기 중 일곱 번째,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위치한 절기입니다. 양력으로는 대략 56경에 해당하며, 음력으로는 대략 4월에 해당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45 이르렀을 때로서,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입하 "초여름"이라는 뜻으로도 불리며,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는 다양한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입하 봄에서 여름으로의 이행을 의미하며, 기온이 점차 높아져 더욱 따뜻한 계절로 전환되는 시기입니다. 식물들은 생장이 활발해지고 여름철을 준비하기 시작합니다. 농사인들은 입하 때에도 밭갈이와 심기, 농사 일정을 철저히 따라가게 됩니다. 더욱 더운 여름이 다가오므로 여름철에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작물을 심고 관리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입하 자연의 변화와 농사일정을 관찰하여 농사 생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절기 중 하나입니다. 이후 입추(立秋)까지는 더욱 더 더운 여름이 이어지게 됩니다. 때문에 이 기간 동안 농사를 짓는 농부들은 더욱 신중하게 작물을 관리하고 수확을 기다리게 됩니다.

 

 

옛날 사용하던 나무로 만든 써레
써레. 출처 : 한국의 농기구

 

 

2) 풍속

 

이 시기에는 봄이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이 신록(신선한 녹색)을 되찾기 시작합니다. 24절기는 중국 화북지역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날씨와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입하 경우에는 아직까지도 봄 날씨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낮에는 여름처럼 더워서 여름 날씨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체로 봄과 비슷한 날씨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만(小滿) 절기 전후인 520일부터 25일경에 여름이 시작됩니다.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여 농부들은 바쁜 시기를 맞게 됩니다. 해충들도 활동을 활발히 하기 때문에 병충해 방제와 잡초 제거에 신경 써야 합니다.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돋아나고 밭의 보리 이삭들도 패기를 시작합니다. 가정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바쁘며, 논밭에서는 해충이 많아지고 잡초가 자라기 때문에 풀뽑기가 필요합니다.

 

또한, 찻잎을 재배해서 차를 마시거나 쑥과 관련된 음식들을 만들어 먹는 관습이 있습니다. 쑥이나 다른 초록 식물들이 풍부하게 자라는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과 차를 즐기는 것이 한국의 전통입니다. 이 시기는 농사 일정이 많이 진행되는 중요한 기간으로서, 농부들에게는 많은 노력과 주의가 요구되는 시기입니다.

 

 

물이 잡힌 빈 논에서 누런 소가 써레를 끌고 뒤에 사람이 따라가며 조종하고 있다
써레질,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3) 관련 속담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입하 시기에는 농사 일정이 바쁜데, 이때 바람이 불면 농부들이 하던 못자리에서 씨나락이 바람에 몰리게 됩니다. 특히 옛날 재래종 벼로 이물작업을 하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못자리를 많이 하기 때문에 바람에 씨나락이 날려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때 못자리 물을 빼서 피해를 방지하라는 뜻으로, 농부들은 바람이 불 때 주의를 기울여 물을 빼야 합니다.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믿어지기도 합니다.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

입하 시기에 농부들이 들로 농사를 보러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농사 일정이 바쁘기 때문에 농부들은 들로 이동하면서 작물을 보고 관리하게 됩니다.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 된다

입하 시기에 물을 잡으면 비료분이 손실되기 때문에 재래종을 심던 시절에는 물을 잡는 것을 조심해야 했습니다.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2022.12.03 - [일상생활] - 곡우(穀雨)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곡우(穀雨)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곡우(穀雨) 1) 개요 24절기 중 여섯 번째로,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위치한 절기입니다. 양력으로는 4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3월 중순경에 해당합니다. 곡우의 의미는 "봄비가 내려

andantecastle.com

 

2022.12.02 - [일상생활] -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경칩(驚蟄) 1) 개요 24절기 중에서 세 번째로 온도가 높아지고 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계칩(啓蟄)'이라고도 불리며, 날짜는 보통 양력 3월 5일부터 6일 무렵입니다. 태양의 황경(黃

andantecastle.com

 

2022.12.02 - [일상생활] - 춘분(春分)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춘분(春分)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춘분(春分) 1) 개요 봄철의 시작을 나타내는 24절기 중 네 번째로,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위치합니다. 춘분은 양력 3월 20일부터 21일 무렵으로 태양의 황경이 0도가 되는 시점입니다. 이

andantecastle.com

 

2022.12.01 - [일상생활] - 동지(冬至) - 24절기 뜻 유래 풍습 속담 팥죽

 

동지(冬至) - 24절기 뜻 유래 풍습 속담 팥죽

동지(冬至) 1) 개요 24절기 중에서 22번째에 해당하는 날로, 겨울의 시작을 나타내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보통 평년에는 12월 22일에 도래하며, 윤년인 경우에는 12월 21일에 오기도 합니다. 매우 드

andantecastle.com

 

2022.12.02 - [일상생활] - 소한(小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한(小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한(小寒) 1) 개요 24절기 중에서 스물세 번째에 해당하며,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보통 1월 5일 또는 6일경에 발생하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됩니다. 태양이 황경 285

andantecastle.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