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명(淸明)
1) 개요
24절기 중 다섯 번째로, 춘분과 곡우 사이에 위치한 절기입니다. 청명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갖고 있으며, 날씨가 점점 더 맑아지고 푸르스름한 봄날을 의미합니다.
양력 기준으로 4월 5일부터 6일 사이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이 15도에 위치할 때입니다. 이날은 노지에 있는 식물들이 풀어지기 시작하는 기온의 상승을 나타내며, 봄의 기운이 점점 강해짐을 뜻합니다.
또한, 한식(寒食)이 청명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습니다. 한식은 전통적인 제례로서, 청명을 기준으로 하얀 고기와 백미를 먹지 않고 차가운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의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청명과 한식이 겹칠 때, 봄철의 열을 피해 살며시 봄을 맞이하도록 한 전통입니다.
또, 청명은 한국에서도 식목일과 겹칠 때가 있는데, 식목일은 숲을 살펴보고 환경보호와 산림조성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행사로, 봄철 청명과 연관하여 녹색과 자연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기념하는 날입니다.
2) 유래
청명은 날씨가 좋다는 뜻으로, 지상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간 날이기 때문에 특별히 택일을 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을 해도 좋다고 믿습니다. 이날은 손이 없다는 관습으로 인해 묘자리를 고치기, 비석을 세우기, 집을 고치기를 비롯한 아무 일이나 해도 좋다고 합니다. 봄이 되면서 겨우내 미루어 두었던 일들을 처리하기에 좋은 날이기도 합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따르면, 청명에는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며,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줍니다. 이를 ‘사화(賜火)’라 합니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줍니다. 이때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寒食)이라고 합니다. 청명과 한식은 같은 날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대에는 뚜렷한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때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며, 특히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 됩니다.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합니다. 과거에도 청명에 나무를 심어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청명이 좋은 날씨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그렇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합니다. 또한 바닷가에서는 날씨가 좋으면 어종이 많아져서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믿어서 좋은 날씨를 기대하며, 바람이 불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3) 관련 속담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한식과 청명이 일반적으로 하루 차이로 겹치기 때문에 하루 빨리 죽던지 늦게 죽던지 별 차이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
부지깽이와 같이 생명이 다한 나무라도 청명 때 심으면 다시 살아난다는 뜻으로, 청명이 땅의 기운이 활발하고 자연의 에너지가 높아서 어떤 식물이라도 잘 자란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말들은 청명의 특별한 날씨와 기운을 강조하여 자연의 힘과 농작물의 성장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한국인들의 농사와 자연에 대한 관심과 경험을 반영한 속담과 관용어입니다.
2022.12.02 - [일상생활] - 춘분(春分)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춘분(春分)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춘분(春分) 1) 개요 봄철의 시작을 나타내는 24절기 중 네 번째로,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위치합니다. 춘분은 양력 3월 20일부터 21일 무렵으로 태양의 황경이 0도가 되는 시점입니다. 이
andantecastle.com
2022.12.02 - [일상생활] -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경칩(驚蟄) 1) 개요 24절기 중에서 세 번째로 온도가 높아지고 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계칩(啓蟄)'이라고도 불리며, 날짜는 보통 양력 3월 5일부터 6일 무렵입니다. 태양의 황경(黃
andantecastle.com
2022.12.02 - [일상생활] - 소한(小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한(小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한(小寒) 1) 개요 24절기 중에서 스물세 번째에 해당하며,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보통 1월 5일 또는 6일경에 발생하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됩니다. 태양이 황경 285
andantecastle.com
2022.12.01 - [일상생활] - 동지(冬至) - 24절기 뜻 유래 풍습 속담 팥죽
동지(冬至) - 24절기 뜻 유래 풍습 속담 팥죽
동지(冬至) 1) 개요 24절기 중에서 22번째에 해당하는 날로, 겨울의 시작을 나타내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보통 평년에는 12월 22일에 도래하며, 윤년인 경우에는 12월 21일에 오기도 합니다. 매우 드
andantecastle.com
2022.12.01 - [일상생활] - 대설(大雪) - 24절기 뜻 풍습
대설(大雪) - 24절기 뜻 풍습
대설(大雪) 1) 개요 24절기 가운데 스물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하며 겨울 중기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그 해의 11월 22일부터 23일경부터 12월 7일부터 8
andantecastle.com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하(立夏)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3 |
---|---|
곡우(穀雨) - 24절기 뜻 풍습 속담 (1) | 2022.12.03 |
춘분(春分)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
우수(雨水)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