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분(春分)
1) 개요
봄철의 시작을 나타내는 24절기 중 네 번째로,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위치합니다. 춘분은 양력 3월 20일부터 21일 무렵으로 태양의 황경이 0도가 되는 시점입니다. 이때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로, 봄철의 시작을 나타내는 중요한 시점 중 하나입니다.
춘분이 지나면 낮이 점점 길어지고 밤은 점점 짧아지며, 기온도 올라가면서 봄의 기운이 더욱 돋아납니다. 이로 인해 산속과 들판에 싹이 돋고, 꽃과 나무들이 피어나는 계절이 시작됩니다. 또한 춘분은 양경(陽經)과 황도(黃道) 12궁의 기준점이 되어 천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절기로 간주됩니다.
2) 풍속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는 특징을 갖춘 날입니다. 이 용어는 한국의 24절기 중 하나이며, 영어로는 "spring equinox"로 표현됩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24절기가 사용되는데, 이 중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네 개뿐이며, 나머지 20개는 동아시아권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절기는 그 지역의 기후와 농업 등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의 남반구와 북반구는 계절이 반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계절명을 붙일 때 지구의 한쪽 반구에서만 유효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북반구에서는 "춘분"을 "봄 분절" 또는 "봄의 평분점"으로 표현할 수 있고, 영어로는 "March equinox"라고도 합니다. 이는 남반구에서 봄이 시작되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반대로 북반구에서의 "추분"은 "가을 분절" 또는 "가을의 평분점"으로 표현되며, 영어로는 "September equinox"라고 합니다. 이 시기는 남반구에서 봄이 시작되는 시기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월명을 함께 사용하여 절기를 표현함으로써 지구의 양쪽 반구에서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명확하고 효율적입니다.
서양에서는 춘분 이후부터 봄으로 간주되며, 기독교에서는 춘분 이후 첫 보름달(음력 15일)이 뜬 후에 처음 맞는 일요일을 부활절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것은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부활절을 정할 때 결정된 사항입니다.
부활절은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 중 하나로 여겨지며,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 날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을 기념하기 위해 성당에서 특별한 예배가 진행되며, 부활절 달걀을 칠하고 나누는 전통도 있습니다.
기독교에서 부활절의 날짜는 달력의 음력과 양력, 그리고 천문학적인 계산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해지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는 방법은 교파나 교회의 전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춘분 이후 첫 보름달(음력 15일)에 해당하는 일요일을 부활절로 정하고 있습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얼음이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지며, 얼음을 얻거나 보관하는 의식과 제사들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의식과 제사들은 얼음이 필요한 여름철의 더위를 식히기 위해 얼음을 잘 보관하고, 얼음이 얼지 않아 얼음 자체를 확보하기 위해 거행되었습니다.
장빙제(藏氷祭) -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의식
음력 12월에 얼음을 떠서 빙고(氷庫)라고 불리는 창고에 보관하기 전에 현명씨(玄冥氏)라는 신과 지내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 의식은 얼음을 보관하고 여름철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의 가호를 구하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개빙제(開氷祭) - 얼음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의식
춘분(음력 3월 중순)에는 빙고문을 열어서 얼음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시기였습니다. 이때도 제사를 지내어 신의 가호를 구했습니다.
기한제(祈寒祭) 또는 동빙제(凍氷祭) - 얼음이 얼지 않을 때 지내는 의식
얼음이 얼지 않아 얼음 자체를 확보해야 할 때에도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 의식에서는 여름이 더욱 더워져서 얼음이 중요한 상태가 되도록 자연의 법칙에 따라야 한다는 마음이 깃들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제사들은 얼음이 귀중한 자원이자 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기 위해 중요한 의식으로 존중되었던 시대적 특성을 보여주며, 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반영한 예술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3) 속설
춘분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민간신화와 농업 관련 지식 등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양한 지역과 문화에서 이러한 기상 관찰과 민간신화들이 전해져 왔습니다. 이러한 민간신화와 지식은 자연과의 상호작용과 농업에 대한 지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춘분에 비가 오면 병자가 드물다고 한다
이는 춘분 시기에 비가 오면 질병의 확산이 어려워지는 경향을 민간적으로 해석한 것으로 보입니다. 비가 오면 공기가 맑아지고 먼지와 균이 희석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균의 전파가 어려워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는 비가 오더라도 병이 들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가 뜰 때 정동 쪽에 푸른 구름 기운이 있으면 보리 풍년이 들고, 청명하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열병이 많다고 한다
해가 뜨는 시간과 구름의 상태는 농작물의 수확과 관련하여 민간에서 기상 관측 지식으로 전해져 온 것으로 보입니다. 구름의 색상과 상태는 기상 변화를 예측하는데 사용되었으며, 보리 풍년과 농작물의 재배 성공 여부와 관련하여 예언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동풍, 서풍, 남풍, 북풍과 보리, 쌀에 대한 민간지식
동풍과 서풍, 남풍과 북풍의 방향에 따라서 보리와 쌀의 생산과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관념은 지역별로 다를 수 있으며, 민간에서 오랜 세월 관찰한 경험에 기반하여 형성된 지식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민간신화와 농업 지식들은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예로부터 한 지역의 농민들이 자연 환경과 관찰을 통해 전해져 온 것으로서, 특정한 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입니다.
4) 춘분 관련 속담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는 것은 이른 봄에는 여전히 추위가 매우 강해서 얼어 죽을 정도로 추운 날씨를 의미합니다.
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 춘분까지이다
추분과 춘분은 각각 가을과 봄의 중간점을 나타냅니다. 이 문구에서는 추분과 춘분까지는 날씨가 불규칙하게 추워지거나 더워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하며, 춘분과 추분은 추위와 더위가 변환하는 경계로서 관용적으로 아무리 더워도 추분이면 선선해지고 한겨울 추위도 춘분이면 따뜻해진다는 뜻입니다.
이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꽃샘추위의 위력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이월에도 추위가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하지(夏至)
하지(夏至) 1) 정의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 절기. 날짜는 양력 6월 22일 무렵이다. 음력 5월. 일 년 중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이다. 2) 내용 천문학적 일 년
andantecastle.tistory.com
2022.12.02 - [일상생활] -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경칩(驚蟄) 1) 개요 24절기 중에서 세 번째로 온도가 높아지고 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계칩(啓蟄)'이라고도 불리며, 날짜는 보통 양력 3월 5일부터 6일 무렵입니다. 태양의 황경(黃
andantecastle.com
2022.12.02 - [일상생활] - 우수(雨水)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우수(雨水)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우수(雨水) 1) 개요 24절기 중 두 번째로 봄이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날짜로는 보통 양력 2월 19일부터 20일쯤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이 330도의 위치에 올랐을 때로 정해집니다. 우수는 그 이름에
andantecastle.com
2022.12.01 - [일상생활] - 동지(冬至) - 24절기 뜻 유래 풍습 속담 팥죽
동지(冬至) - 24절기 뜻 유래 풍습 속담 팥죽
동지(冬至) 1) 개요 24절기 중에서 22번째에 해당하는 날로, 겨울의 시작을 나타내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보통 평년에는 12월 22일에 도래하며, 윤년인 경우에는 12월 21일에 오기도 합니다. 매우 드
andantecastle.com
2022.12.02 - [일상생활] - 소한(小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한(小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한(小寒) 1) 개요 24절기 중에서 스물세 번째에 해당하며,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보통 1월 5일 또는 6일경에 발생하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됩니다. 태양이 황경 285
andantecastle.com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우(穀雨) - 24절기 뜻 풍습 속담 (1) | 2022.12.03 |
---|---|
청명(淸明)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
경칩(驚蟄)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
우수(雨水)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
입춘(立春)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