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서(小暑)
1) 개요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열한 번째로 있는 절기로,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위치합니다. 날짜적으로는 양력 기준으로 7월 5일부터 7월 7일 사이에 놓이며, 음력으로는 6월 중순경에 해당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105도가 되는 때이기도 합니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절기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됩니다. 기온이 점차 상승하여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습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름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로서, 건강 유지에 주의해야 하며, 수분 섭취와 체온 조절에 신경써야 합니다.
농사를 짓는 농업사회 시기에 있어서는, 이전 절기인 망종(芒種)과 함께 농사 일정에서 중요한 시기입니다. 쌀농사를 하는 지역에서는 이 시기에 잡초를 제거하고, 논밭의 바닥을 보완하는 등 중요한 농사 일정들이 이뤄집니다.
소서 때의 더위는 무더운 만큼 건강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분 섭취와 더위를 피해 적절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열대야, 찜통더위 등 더위로 인한 질병 예방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2) 특징
소서를 전후하여 장마가 지기 쉽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립니다. 장마철은 일반적으로 양력 6월 하순(21 ~ 31일)부터 7월 중순(11 ~ 20일)까지 이어집니다.
예전에는 이 시기에 하지(夏至)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모를 낸 20일 뒤인 소서 때에 논매기를 하곤 했습니다. 논이나 밭에 자생하는 불필요한 풀을 기음이라 하며,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풀을 없애고 흙을 부드럽게 해주는 일을 말합니다. 이를 '김매다', '논매다' 또는 '밭매다'라고 합니다. 옛날에는 소서에 논매기를 했지만 요즘은 주로 제초제를 사용하여 제거합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논둑과 밭두렁의 풀을 베어 퇴비를 얻거나, 가을보리를 베어낸 자리에 콩이나 조, 팥을 심어 이모작을 하는 일도 이뤄집니다.
소서 때는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과일과 채소가 풍성하게 수확되며, 밀과 보리도 이때부터 먹기 시작합니다. 농사일정이 한가해지면서 음력 6월은 농사가 진행되지 않는 시기로, 단오를 전후하여 먹는 밀가루 음식의 맛이 가장 좋은 때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소서 관련 속담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 심는다
소서가 지나면 보통 모내기가 늦어지기 때문에 모두가 협력하여 빠르게 모내기를 완료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소서 전에 모내기를 끝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소서가 지나면 모내기가 늦어지는 상황을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소서 모는 지나가는 행인도 달려 든다
소서가 지나면 모두가 모내기를 빨리 끝내야 한다는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모내기를 늦추게 되면 농사 일정이 지연되어 농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모두가 협력하여 빠른 시일 내에 모내기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7월 늦모는 원님도 말에서 내려 심어 주고 간다
"소서 모는 지나가는 행인도 달려 든다"와 비슷한 의미로 소서가 지나도록 모내기를 못하게 되면 농사에 지장이 있어서 빠른 시일 내에 모두 협력해서 모내기를 마무리 해야 한다는 뜻 입니다.
출처:한국민속대백과사전
24절기
24절기(節氣, Solar term) 동아시아 등에서 계절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1년을 황경을 따라 15° 간격으로 24 등분하고 태양의 위치에 따라 부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충렬왕 시
andantecastle.tistory.com
하지(夏至)
하지(夏至) 1) 정의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 절기. 날짜는 양력 6월 22일 무렵이다. 음력 5월. 일 년 중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이다. 2) 내용 천문학적 일 년
andantecastle.tistory.com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서(大暑) - 24절기 뜻 풍습 속담 (1) | 2022.12.04 |
---|---|
하지(夏至)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4 |
입하(立夏)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3 |
곡우(穀雨) - 24절기 뜻 풍습 속담 (1) | 2022.12.03 |
청명(淸明) - 24절기 뜻 풍습 속담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