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속담6

대서(大暑) - 24절기 뜻 풍습 속담 대서(大暑) 1) 개요 24절기 중 열두 번째 절기로, 소서(小署)와 입추(立秋)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 절기는 양력 기준으로 7월 22일부터 23일 사이에 놓이며, 음력으로는 6월에 해당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120도에 이른 때이기도 합니다. "대(大)"는 크다는 의미이고, "서(暑)"는 더움을 의미합니다. '몹시 심한 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날씨가 매우 덥고 습도가 높은 시기입니다.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에서의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름의 절정기로서, 기온과 습도가 높아져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더위로 인해 인체의 열 중화를 위해 신체적인 관리와 수분 섭취가 중요하며, 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옷차림과 활동 조절이 필요합니다. 대서.. 2022. 12. 4.
소서(小暑)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서(小暑) 1) 개요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열한 번째로 있는 절기로,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위치합니다. 날짜적으로는 양력 기준으로 7월 5일부터 7월 7일 사이에 놓이며, 음력으로는 6월 중순경에 해당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105도가 되는 때이기도 합니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절기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됩니다. 기온이 점차 상승하여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습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름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로서, 건강 유지에 주의해야 하며, 수분 섭취와 체온 조절에 신경써야 합니다. 농사를 짓는 농업사회 시기에 있어서는, 이전 절기인 망종(芒種)과 함께 농사 일정에서 중요한 시기입니다. 쌀농사를 하는 지역에서는 이 시기에 잡초를 .. 2022. 12. 4.
하지(夏至) - 24절기 뜻 풍습 속담 하지(夏至) 1) 개요 하지(夏至)는 24절기 중에서 여덟 번째로 있는 절기로,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위치합니다. 날짜적으로는 양력 6월 21일 또는 22일경에 놓이며, 음력으로는 5월 하순경에 해당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90도가 되는 때로서, 이 절기를 기준으로 해가 가장 높이 떠오르고 낮이 지는 시간이 가장 길어집니다. 일 년 중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한여름의 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가 한 해의 최고기온을 기록하는 여름의 정점입니다. 기온이 높아지고 습도도 증가하여 무더운 날씨가 지속됩니다. 농사 일정에서는 이전 절기인 망종(芒種) 때에 이어서 여름작물을 심고 관리하는 시기로서 농사에 바쁜 시기입니다. 하지는 농사와 함께 중요한 음력 기준의 절기로서, .. 2022. 12. 4.
대한(大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대한(大寒) 1) 정의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를 뜻합니다. 소한과 입춘 사이에 위치하며, 날짜는 양력으로는 1월 20일 무렵에 해당하고, 음력으로는 12월에 들어갑니다. 태양의 위치는 황경 300도에 있을 때이며, 양력으로는 1월이지만 음력으로는 12월에 속하므로 24절기의 매듭을 짓는 절기입니다. 대한 기간의 마지막 날은 절분이라고 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로 여겼다는 관행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절기를 기준으로 한 해의 시작과 끝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새해는 음력 기준으로 설날을 시작으로 하여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대한이 한 해의 마지막 날이라고 보는 것은 옛 관행이며, 현대에서는 새해가 음력 기준으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내용 절기의 의..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