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의 개념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은 방어기제의 하나로, 자신이 불허하는 욕구나 감정을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내부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이나 욕구를 외부에 표출하지 않기 위해 사용되는 방어 매커니즘입니다.
반동형성은 자신의 내부적인 감정이나 욕구를 불허하거나 회피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때로는 정작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는 다른 행동이나 태도를 보이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동형성이 지속되면 내부적인 갈등과 어긋난 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기인식과 감정의 인정, 적절한 대처 방법 등을 개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통해 반동형성을 극복하고 자기조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Ⅱ. 반동형성의 예
① 사회적인 반대를 표출하는 예
자신이 성적인 욕망을 불허하거나 부끄러워하는 사람이 있을 때, 오히려 매우 보수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성적인 행동을 완전히 회피하는 것을 보입니다. 이는 자신의 내부적인 성적 욕망을 반대로 보여주는 반동형성의 예입니다.
② 외부적인 표출과 반대되는 태도를 가지는 예
자신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반대되는 긍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싫어하는 사람에 대해 사회적으로 친절하고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반동형성의 예입니다.
③ 가치관의 반대를 표출하는 예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나 신념과 반대되는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동성애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을 때, 동성애자들을 지지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취할 수 있는 반동형성의 예입니다.
Ⅲ. 반동형성의 효과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은 감정이나 욕구를 반대되는 방향으로 표출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이 방어기제의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감정의 억압: 반동형성은 원래의 감정을 억압하고 반대되는 감정을 강화시킵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억압적인 성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부정하고 부끄러워하는 대신, 과도한 독점적인 도덕성을 강조함으로써 성적 욕구를 억압합니다.
② 외부 표출의 변화: 반동형성은 내부적인 감정과 욕구를 외부에 반대되는 방식으로 표출합니다. 즉, 자신의 진짜 감정이나 욕구를 감추고 반대되는 행동이나 태도를 취합니다. 이는 외부에서 보는 사람들에게 반전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③ 방어적 조절: 반동형성은 내부적인 갈등을 외부에서 조절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정을 유지하려는 방어적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부적인 충돌이나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반대되는 감정이나 태도를 취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동형성은 일시적으로 감정의 억압이나 내부 충돌을 완화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심리적인 부담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내부적인 감정과 욕구를 인정하고 다루는 것이 자기 성장과 적응에 더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통해 반동형성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Ⅳ. 반동형성의 이유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감정의 억압: 개인이나 사회적으로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감정이나 욕구를 억압하고자 할 때, 이러한 감정을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의 성적 욕구를 부끄러워하고 억압하려고 할 때, 이를 반대되는 태도와 행동으로 바꾸어 성적 욕구를 감추려고 할 수 있습니다.
② 문화적이나 사회적 압력: 반동형성은 개인이나 사회적으로 받는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문화나 사회에서 특정한 감정이나 욕구가 비난을 받거나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우, 이를 반대되는 감정이나 태도로 표출하려는 경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
③ 자아 식별과 자기 보호: 반동형성은 자아 식별과 자기 보호의 일환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자신의 진짜 감정이나 욕구를 부정하고 억압하는 대신,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감정이나 태도를 취함으로써 자아를 보호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④ 자기 방어 메커니즘: 반동형성은 자기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내부적인 갈등이나 불안을 외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조절하기 위해 반대되는 감정이나 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심리적인 안정을 유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동형성은 개인의 심리적인 조절과 적응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아의 일관성과 정체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반동형성이 지나치게 사용되거나 지속되는 경우에는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통해 심리적인 조절과 인식의 변화를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3.06.22 - [심리학] - 분열형 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분열형 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Ⅰ. 분열형 장애의 개념 분열형 성격장애는 과거에 사용되던 용어로, 현재는 정신건강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에, DSM-5에서는 분열형 성격장애 대신 "분열형 장애(S
andantecastle.com
2023.06.23 - [심리학] -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vPD) - 대인기피증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vPD) - 대인기피증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vPD) Ⅰ. 회피성 성격장애의 개념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vPD)는 대인 관계에서 지나치게 내성적이고 회피적인 행동과 감정적인 억제,
andantecastle.com
2023.06.21 - [심리학]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Ⅰ.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의 개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는 심리적 외상이나 극단적인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한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심각한 장애입니다. 이러한 외상적인 경험은 심
andantecastle.com
상담의 기본원리
Ⅰ. 상담의 기본원리 목차 개별화의 원리 의도적 감정표현의 원리 통제된 정서 관여의 원리 수용의 원리 비심판적 태도의 원리 자기결정의 원리 비밀보장의 원리 Ⅱ. 상담의 기본원리 내용 ①
andantecastle.com
2023.06.20 - [심리학] -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
Ⅰ. 교류분석이란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은 상담심리학과 개인 발달 이론의 한 접근법으로, 1950년대에 에릭 베른(Eric Berne)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교류분석은 개인 간의 상호작용과 커
andantecastle.com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6. 투사(projection) (0) | 2023.06.26 |
---|---|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5. 퇴행(Regression) (0) | 2023.06.25 |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3. 합리화(Rationalization) (0) | 2023.06.25 |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2. 억압(Repression) (0) | 2023.06.25 |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1. 부정(Denial) (0) | 202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