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15

우수(雨水)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우수(雨水) 1) 개요 24절기 중 두 번째로 봄이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날짜로는 보통 양력 2월 19일부터 20일쯤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이 330도의 위치에 올랐을 때로 정해집니다. 우수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물이 비처럼 내리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봄이 시작되어 빙판이 녹고 눈이 녹아 물이 많이 생기는 시기입니다. 땅이 슬슬 녹아서 적당한 수분을 얻게 되면 농작물의 싹이 돋아나고 자연의 생명력이 다시 돌아오는 때이기도 합니다. 이때 물이 많아지기 때문에 농경과 관련된 의례와 행사가 많이 열리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우수는 대체로 봄의 시작과 물이 생기는 것을 기원하고 기념하는 절기로 여겨집니다. 2) 행사 봄의 시작과 함께 눈이 비처럼 내리고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는 시기로, 날씨가 많이 풀.. 2022. 12. 2.
입춘(立春)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입춘(立春) 1) 개요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로, 음력 정월(正月)의 절기로서 봄의 시작으로 여겨집니다. 대한과 우수 사이에 위치하며, 보통 양력으로는 2월 3일부터 2월 4일 사이에 해당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315˚에 드는 때이며, 사주적으로는 '인월'이라고 하여 새로운 띠가 입춘부터 시작한다고 여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주가들은 12지에 해당하는 띠를 사주명리에서처럼 입춘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설날과 입춘이 가깝기 때문에 편하게 음력 1월 1일을 기준으로 간지를 나누는 사람도 많습니다. 또한 동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천문학적으로는 춘분을 띠의 기준점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하지만, 입춘은 전통적으로 봄.. 2022. 12. 2.
대한(大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대한(大寒) 1) 정의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를 뜻합니다. 소한과 입춘 사이에 위치하며, 날짜는 양력으로는 1월 20일 무렵에 해당하고, 음력으로는 12월에 들어갑니다. 태양의 위치는 황경 300도에 있을 때이며, 양력으로는 1월이지만 음력으로는 12월에 속하므로 24절기의 매듭을 짓는 절기입니다. 대한 기간의 마지막 날은 절분이라고 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로 여겼다는 관행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절기를 기준으로 한 해의 시작과 끝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새해는 음력 기준으로 설날을 시작으로 하여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대한이 한 해의 마지막 날이라고 보는 것은 옛 관행이며, 현대에서는 새해가 음력 기준으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내용 절기의 의.. 2022. 12. 2.
소한(小寒) - 24절기 뜻 풍습 속담 소한(小寒) 1) 개요 24절기 중에서 스물세 번째에 해당하며,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보통 1월 5일 또는 6일경에 발생하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됩니다. 태양이 황경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기 때문에 한 해의 겨울 중점을 의미합니다. 한반도와 중국,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중요한 기준점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겨울의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농사일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절기 중 하나입니다. 소한을 기점으로 낮이 점점 늘어나고, 밤이 점점 짧아지며, 추위가 한층 깊어집니다. 농사일이 줄어들고 식량과 보관식품을 잘 준비하는 시기로 여겨집니다. 소한과 관련된 속담과 풍습들은 이 지역의 농경사회에서 전해져오며, 이 시기의 기후 변화와 자연 현상을 담고 있습니다. 소한을 중심으로..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