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검사의 유형과 실시시기, 과정 – 객관적 검사와 투사적 검사

by 따뜻한 고양이 2023. 7. 5.
반응형

 

체크리스트, 시험, 검사

 

 

1. 객관적 검사

 

객관적 검사는 참가자의 응답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검사는 주관적인 해석이나 판단의 여지가 적어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다고 평가되며,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심리검사 중에서 객관적인 검사로 알려진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성격 평가 및 정신건강 진단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객관적 검사입니다. 다양한 성격 특성과 정신질환 관련 요인을 측정하여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합니다.

 

CPI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성격 특성과 행동 양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객관적 검사입니다. 사회적, 인간관계, 인지적, 동기적 요인 등을 평가하여 개인의 성격 특성을 파악합니다.

 

16PF (16 Personality Factors)

성격의 다양한 차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객관적 검사입니다. 16개의 성격 요인을 평가하여 개인의 성격 특성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NEO-PI-R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다차원적인 성격 평가를 위해 개발된 객관적 검사입니다. 다섯 가지 주요 성격 요인 (신경성,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을 평가하여 개인의 성격 특성을 분석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객관적 심리검사가 존재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심리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객관적 검사는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결과의 해석과 분석에 있어서도 심리검사 전문가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요구됩니다.

 

 

2. 투사적 검사

 

투사적 검사는 응시자의 무의식적인 심리적 측면이나 내면적인 경험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이러한 검사는 응시자가 주어진 자극물에 대해 상상력을 발휘하고, 이야기를 만들어 내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방식으로 자신의 심리적인 세계를 투사하도록 유도합니다. 투사적 검사는 응시자의 응답을 통해 개인의 정서, 욕구, 태도, 내면적 충동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투사적 검사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있습니다.

 

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응시자에게 인지적 불완전한 그림들을 보여주고,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도록 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해 응시자의 무의식적인 욕구, 충동, 관심사, 감정 등을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rschach Inkblot Test

응시자에게 잉크가 뭍은 종이를 보여주고, 그것을 보고 무엇을 상상하는지 설명하도록 하는 검사입니다. 응시자의 해석에 따라 나타나는 이미지와 그것에 대한 이야기는 개인의 개성, 내면적인 갈등, 인지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Sentence Completion Test

미완성된 문장을 제시하고 응시자에게 문장을 완성하도록 하는 검사입니다. 응시자의 응답을 통해 개인의 욕구, 태도, 감정, 가치관 등을 이해하고 해석합니다.

 

투사적 검사는 응시자의 무의식적인 심리적 측면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해석에 있어서는 심리검사 전문가의 경험과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됩니다. 응시자의 응답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해석하여 개인의 내면세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심리검사 실시 시기

 

심리검사의 실시 시기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임상 진단 및 평가

심리검사는 임상적인 질환, 정신건강 문제, 인지 기능 장애 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의사, 심리학자, 심리치료사 등의 전문가가 증상 및 적절한 평가 도구를 고려하여 심리검사를 실시합니다.

 

직업 상담 및 진로 지도

심리검사는 개인의 성향, 능력, 관심사 등을 파악하여 직업 선택과 진로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직업 상담이나 진로 지도 과정에서 심리검사가 활용될 수 있습니다.

 

교육 및 학업 평가

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학생들의 학업 역량, 학습 스타일, 학습 장애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심리검사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 지원이나 개별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 및 심리학적 연구 참여

심리검사는 심리학적인 연구에 참여하거나 연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특정한 심리적인 변수를 측정하고 파악하기 위해 심리검사를 활용합니다.

 

심리검사의 실시 시기는 해당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전문가의 판단과 응시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심리검사는 신중한 계획과 윤리적인 규정을 따라 실시되어야 하며, 결과의 정확성과 해석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요구됩니다.

 

 

4. 심리검사 실시 과정

 

① 상담 및 준비

심리검사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먼저 상담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심리검사의 목적과 절차, 개인 정보 보호 등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며, 응시자의 동의를 받습니다. 필요한 경우, 응시자의 선별을 위해 초기 평가나 전반적인 인지 능력 평가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② 검사 도구 선택

심리검사의 목적과 응시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검사 도구를 선택합니다. 이는 전문가가 심리검사 도구의 특성, 신뢰도, 타당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③ 실시 및 관리

심리검사는 전문가나 훈련 받은 심리검사자에 의해 실시됩니다. 검사는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진행되며, 정해진 지침과 시간제한을 준수합니다. 응시자의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고, 필요한 설명과 지시를 제공하여 심리적인 부담을 최소화합니다.

 

④ 결과 분석 및 해석

 검사 결과는 전문가에 의해 분석되고 해석됩니다. 결과는 응시자의 개별 특성과 정량적인 수치, 그래프 등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시자의 심리적인 특성과 행동 양상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석은 개인의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며, 검사 결과를 포함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⑤ 결과 피드백 및 행동 계획 수립

검사 결과를 응시자에게 설명하고, 필요한 경우 상담이나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결과에 대한 피드백은 이해하기 쉽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에 대해 응시자와 함께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한 지원이나 치료 방법을 제시합니다.

 

심리검사의 실시 과정은 전문가의 역량과 윤리적인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응시자의 개인 정보 보호, 검사의 정확성과 타당성, 결과의 신뢰성 등을 보장하기 위해 신중한 접근과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2023.07.03 - [심리학] - 프로이트 - 2. 정신분석의 주요 개념

 

프로이트 - 2. 정신분석의 주요 개념

Ⅰ. 자각의 수준 ① 의식 프로이트에 따르면 의식은 개인이 현재 인식하고 있는 정보와 경험을 포함하는 인지적인 상태입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인식하고 알고 있는 것들을 의미합니다.

andantecastle.com

 

2023.06.28 - [심리학] - 성격연구방법

 

성격연구방법

Ⅰ. 자료의 범주 ① L-data(Life Record Data) 성격연구에서 L-data는 "Life Data" 또는 "Life Record Data"의 약어로, 개인의 실제 행동과 경험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L-data는 응답자의 실제 행동과 상

andantecastle.com

 

2023.06.26 - [심리학] -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11. 승화(Sublimation)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11. 승화(Sublimation)

Ⅰ. 승화(Sublimation)란? 승화(Sublimation)는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중 하나로, 본능적이고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욕구나 감정을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승화는

andantecastle.com

 

2023.06.26 - [심리학] -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7. 왜곡(Distortion)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 7. 왜곡(Distortion)

Ⅰ. 왜곡(Distortion)의 개념 왜곡(distortion)은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중 하나로, 현실을 비틀거나 변형하여 심리적인 불안이나 충돌을 완화하려는 방식을 말합니다. 개인이 현실을 자신의 심리적

andantecastle.com

 

2023.06.22 - [심리학] - 섭식장애(Eating Disorders)

 

섭식장애(Eating Disorders)

Ⅰ. 섭식장애의 개념 섭식장애(Eating Disorders)는 심리적인 요인과 음식 섭취 및 신체 이미지와 관련된 문제로 인해 식사 습관이 이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섭식장애는 주로 환경

andantecastle.com

 

 

 
 
 
728x90
반응형